
아두이노가 클라이언트, 라즈베리 파이가 서버가 되는 시스템을 만들어보자. 아두이노에서 센서 등을 통해 데이터를 받아 서버로 보내고, 서버에서는 이를 사용한 웹페이지를 만들려고 한다. 아두이노에서 센서를 받는 프로그램 작성은 생략하고, 라즈베리파이에서 데이터를 받고 시각화하는 과정을 해볼 것이다. 최종적인 구상은 아래와 같다. 1. 아두이노 프로그램에서 와이파이로 데이터를 전송 2. 라즈베리파이에서 데이터를 받아 csv 파일로 저장 3. csv 파일을 이용해 matplotlib 그래프를 만들고 이를 웹페이지에 올리기 웹페이지는 천천히 만들어보고... 일단 아두이노에서 라즈베리파이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부터 시작해보자. 1. D1 보드 연결 D1 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 해줘야 ..

아두이노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라즈베리파이에서 받기위해선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가 시리얼 통신을 해야 한다. 아두이노 파일 내용은 앞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게 사용한다. https://deonggideok.tistory.com/74 [라즈베리파이로 온습도 센서 사용하기] (1) 온습도 센서 + 아두이노 연결 아두이노와 라즈베리를 합쳐서 사용하게 되면, 아두이노에서는 여러 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라즈베리파이에서는 이 데이터를 받아 저장하고 뿌리는 서버 역할을 할 수 있다. 온습도 deonggideok.tistory.com 라즈베리파이에서 아두이노의 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파이썬 파일을 작성한다. 1. 포트 확인 작성에 앞서,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가 시리얼 통신을 하므로 아두이노에서 사용하는 포..

아두이노와 라즈베리를 합쳐서 사용하게 되면, 아두이노에서는 여러 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라즈베리파이에서는 이 데이터를 받아 저장하고 뿌리는 서버 역할을 할 수 있다. 온습도 센서 -> 아두이노 -> 라즈베리파이 -> csv 파일을 만들어 저장하는 예제를 해보자 1. 온습도 센서 붙이기 아두이노에 온습도 센서가 작동 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하고 붙인다. (온습도 센서는 여기저기 움직여가며 사용해보고, 아두이노의 발열 영향을 최소한으로 받게 하기 위해 브레드보드에 붙이지 않고 따로 길게 뺐다) 알아보기 쉽게 회로도를 그리고 싶었으나, 툴을 찾지 못해 일단 사진을 찍었다. 온습도 센서에서 VCC -> 5V DAT -> A1 GND -> 아두이노의 그라운드 로 연결한다. 2. 온습도 센서 데이터 받는..

라즈베리 파이에 메일 서버를 구축한다. 메일을 보내기 위해 postfix, 메일을 받기 위해 dovecot을 사용한다. Postfix 1. Postfix 설치 $ apt-get install postfix 메일 설정의 대략적인 형식으로 인터넷 사이트를 선택한다. 도메인을 입력한다. 2. postfix 설정 자세한 postfix 설정을 진행한다. $ sudo dpkg-reconfigure postfix 시스템 관리자에게 리다이렉트 되는 메일을 받을 계정을 적는다. 추가하고 싶지 않을 경우 공백으로 둔다. 최종 목적지로 취급할 도메인의 목록을 쉼표로 연결하여 입력해준다. 동기 업데이트를 강제할 경우 이메일 처리가 느리게 진행될 수 있다고 설명되어 있다. 하지 않을 경우 메일이 분실될 수 있는 가능성이 '살짝..

1. vsftpd 설치 vsftpd를 설치한다 $ apt-get install vsftpd 2. FTP 서버 설정 변경 FTP 서버 설정 내용을 변경하기 위해 /etc/vsftpd.conf 파일을 수정한다. $ vi /etc/vsftpd.conf 설정 내용 항목은 아래와 같다. 내용 설명 anonymous_enable=No Anonymous 사용자의 접속 허용 여부 local_enable=YES local 계정 사용자의 접속 허용 여부 write_enable=YES write 권한 허용 여부 local_umask=002 local 계정 사용자용 umask chroot_local_user=YES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제한 chroot_list_enable=YES 사용자 목록 지정 chr..

naver.com 등 한글이 있는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언어 설정을 Korean으로 바꾸면, 글자가 아니라 네모상자로 보여 글자 내용을 확인 할 수 없다. 즉, 한글이 깨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한글 설치 먼저,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해 한글을 설치한다. $ sudo apt-get install ibus $ sudo apt-get install ibus-hangul $ sudo apt-get install fonts-unfonts-core 2. 환경 설정 변경 환경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Menu -> Preference -> RaspberryPi Configuration으로 들어간다. Localisation 탭에 들어가서 Locale은 ko, KR, UTF-8로 변경한다. ..

1. 리눅스에서 xrdp 다운로드 xrdp를 설치한다. $ sudo apt-get install xrdp 2. 윈도우에서 원격 접속하기 먼저, 윈도우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찾아 들어간다. 그 후, 나오는 화면에 라즈베리 파이의 ip주소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른다. +) 라즈베리파이의 ip주소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리눅스의 터미널 창에서 ifconfig를 입력한다 잠시 기다리면 아래 창이 나오는데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기본으로 아이디는 pi, 비밀번호는 raspberry다. 3. 접속 완료 이 과정을 거쳐 접속이 완료된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블루투스
- BFS
- ESP8266
- java
- hackerrank
- 라즈비안
- 2981
- FTP
- dovecot
- 11503
- the pads
- 백준
- git
- 워드프레스
- hc-06
- 집배원 한상덕
- DP
- 스티커모으기2
- 자바
- 구슬 탈출2
- 아두이노
- 메일서버
- dht11
- 리눅스
- 합승 택시 요금
- 프로그래머스
- mysql
- c++
- 키 순서
- 라즈베리파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