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naver.com 등 한글이 있는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언어 설정을 Korean으로 바꾸면, 글자가 아니라 네모상자로 보여 글자 내용을 확인 할 수 없다. 즉, 한글이 깨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한글 설치
먼저,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해 한글을 설치한다.
$ sudo apt-get install ibus
$ sudo apt-get install ibus-hangul
$ sudo apt-get install fonts-unfonts-core
2. 환경 설정 변경
환경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Menu -> Preference -> RaspberryPi Configuration으로 들어간다.
Localisation 탭에 들어가서
Locale은 ko, KR, UTF-8로 변경한다.
Timezone은 Asia, Seoul로 변경한다.
Keyboard는 Korean으로 변경한다.
3. 재부팅
설정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해 리부팅을 한다.
4. ibus 데몬 시작
재부팅 후 바로는 ibus가 적용되지 않는다. ibus를 사용하기 위해 ibus 데몬을 시작해야 한다.
메뉴(Menu) -> 기본 설정(Preference) ->iBus 환경 설정으로 들어가고 데몬을 실행한다.
+) ibus 데몬은 재부팅시 또 꺼진다.
ibus 데몬을 자동실행하기 위해 터미널에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 im-config -n ibus
5. 결과 확인
데몬을 실행하면 우측 위에 태극모양 아이콘이 생긴다.
한글을 쓰고 싶을 때, 태극 모양 아이콘을 눌러 사용한다. 그냥 해서는 안될때는 '한글 상태'를 눌러 체크 표시 해놓고 하면 된다.
'라즈베리 파이 >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time 공유기 DDNS 설정 + 포트포워딩으로 외부에서 웹서버 접속하기 (1) | 2020.05.22 |
---|---|
[라즈베리 파이] 메일 서버 구축 Postfix + Dovecot (0) | 2020.05.22 |
[라즈베리 파이] FTP 서버 구축하기(vsftpd) (0) | 2020.05.21 |
[라즈베리 파이] 윈도우에서 원격 접속 하는 방법 (xrdp) (0) | 2020.05.20 |
[라즈베리 파이] 라즈비안 설치 (0) | 2020.05.20 |
- Total
- Today
- Yesterday
- 아두이노
- 메일서버
- git
- 자바
- 11503
- ESP8266
- java
- 워드프레스
- hc-06
- the pads
- 집배원 한상덕
- 리눅스
- 2981
- 스티커모으기2
- 라즈비안
- 키 순서
- 합승 택시 요금
- 백준
- BFS
- dht11
- 프로그래머스
- 블루투스
- DP
- c++
- FTP
- 구슬 탈출2
- mysql
- 라즈베리파이
- dovecot
- hackerra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