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 이어서...... https://deonggideok.tistory.com/83 앞에서는 아두이노(클라이언트)에서 라즈베리 파이(서버)로 데이터를 보내는 코드를 만들어 봤다. 이제는 라즈베리 파이에서 아두이노에서 보낸 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코드를 작성해보자. 아두이노에서 받은 데이터를 데이터를 받은 시간과 함께 데이터를 csv에 기록해 볼 것이다. 라즈베리 파이에서는 소켓을 만든다. 소켓에서 아두이노에서 보낸 데이터(clinet.print로 보낸 내용)을 수신한다. 전체 코드는 아래와 같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

아두이노가 클라이언트, 라즈베리 파이가 서버가 되는 시스템을 만들어보자. 아두이노에서 센서 등을 통해 데이터를 받아 서버로 보내고, 서버에서는 이를 사용한 웹페이지를 만들려고 한다. 아두이노에서 센서를 받는 프로그램 작성은 생략하고, 라즈베리파이에서 데이터를 받고 시각화하는 과정을 해볼 것이다. 최종적인 구상은 아래와 같다. 1. 아두이노 프로그램에서 와이파이로 데이터를 전송 2. 라즈베리파이에서 데이터를 받아 csv 파일로 저장 3. csv 파일을 이용해 matplotlib 그래프를 만들고 이를 웹페이지에 올리기 웹페이지는 천천히 만들어보고... 일단 아두이노에서 라즈베리파이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부터 시작해보자. 1. D1 보드 연결 D1 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 해줘야 ..

아두이노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라즈베리파이에서 받기위해선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가 시리얼 통신을 해야 한다. 아두이노 파일 내용은 앞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게 사용한다. https://deonggideok.tistory.com/74 [라즈베리파이로 온습도 센서 사용하기] (1) 온습도 센서 + 아두이노 연결 아두이노와 라즈베리를 합쳐서 사용하게 되면, 아두이노에서는 여러 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라즈베리파이에서는 이 데이터를 받아 저장하고 뿌리는 서버 역할을 할 수 있다. 온습도 deonggideok.tistory.com 라즈베리파이에서 아두이노의 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파이썬 파일을 작성한다. 1. 포트 확인 작성에 앞서,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가 시리얼 통신을 하므로 아두이노에서 사용하는 포..

아두이노와 라즈베리를 합쳐서 사용하게 되면, 아두이노에서는 여러 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라즈베리파이에서는 이 데이터를 받아 저장하고 뿌리는 서버 역할을 할 수 있다. 온습도 센서 -> 아두이노 -> 라즈베리파이 -> csv 파일을 만들어 저장하는 예제를 해보자 1. 온습도 센서 붙이기 아두이노에 온습도 센서가 작동 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하고 붙인다. (온습도 센서는 여기저기 움직여가며 사용해보고, 아두이노의 발열 영향을 최소한으로 받게 하기 위해 브레드보드에 붙이지 않고 따로 길게 뺐다) 알아보기 쉽게 회로도를 그리고 싶었으나, 툴을 찾지 못해 일단 사진을 찍었다. 온습도 센서에서 VCC -> 5V DAT -> A1 GND -> 아두이노의 그라운드 로 연결한다. 2. 온습도 센서 데이터 받는..

사용자를 추가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admin 페이지 접속 -> 사용자 -> 사용자 추가하기 역할을 선택한다. 역할은 총 5개가 있다. 1. 관리자: 웹사이트 관리하는 사람. 사용자와 웹사이트를 관리하며 글을 작성, 편집할 수 있다 2. 편집자: 워드프레스에 작성되는 컨텐츠를 관리하는 사람. 글을 작성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글을 수정할 수 있다. 3. 작성자: 글을 작성하고 발행할 수 있는 사람 4. 외부 필진: 글을 작성할 수 있지만 발행 할 수는 없는 사람. 외부 필진이 작성한 글은 관리자가 발행할 수 있다. 5. 구독자: 글을 읽는 사람. 글을 작성할 수 없다.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위에서 정한대로 사용자가 추가된다.

530 에러 FTP로 접속은 되나 로그인이 안되면서 530 에러가 생겼다. 사용자의 쉘 설정을 해서 문제를 해결했다. /etc/passwd에 들어가면 john:x:1001:1001::/home/john: 이런 식으로 맨 마지막 부분이 공백일 때 로그인이 안됐다. 쉘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일단 사용 가능한 쉘의 목록을 확인해야 된다. $ cat /etc/shells 여기서 /bin/bash를 사용한다고 하자. 쉘을 설정하려면 두가지 방법이 있다. 1) 루트 권한으로 vi /etc/passwd해서 공백 부분 직접 작성 2) $ chsh -s /bin/bash [사용자명] 이렇게 해서 쉘을 설정하면 /etc/passwd의 빈 공백 부분이 이렇게 바뀌고, 로그인도 잘 된다. 553 에러 이렇게 로그인을 했더니 ..
1. 사용자 생성 먼저, 리눅스에서 ftp 계정을 사용할 계정을 등록한다. $ useradd -m [유저이름] 2. 사용자가 FTP를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 현재 라즈베리 파이에서는/etc/vsftpd.chroot_list에서 사용자 목록을 관리하고 있다. (chroot_list_file=/etc/vsftpd.chroot_list로 설정) 설정 관련은 /etc/vsftpd.conf에서 관리하며 관련 내용은 아래의 포스트에 있다. https://deonggideok.tistory.com/56 [라즈베리 파이] FTP 서버 구축하기(vsftpd) 1. vsftpd 설치 vsftpd를 설치한다 $ apt-get install vsftpd 2. FTP 서버 설정 변경 FTP 서버 설정 내용을 변경하기 위해 /et..

1. iptime 관리 페이지 들어가기 iptime 관리페이지를 들어가기 위해서는 gateway를 확인해야 한다. iptime은 주로 192.168.0.1인데 안되는 경우가 있다. 그때는 route를 써서 gateway ip주소를 확인한다. iptime 와이파이가 연결된 PC나 모바일에서 확인한 주소(192.168.1.1)를 주소창에 입력하면 admin 시작페이지가 나온다. 초기 로그인 이름과 로그인 암호는 모두 admin이다. 관리도구에 들어간다. 2. DDNS 설정 고급설정 -> 특수기능 -> DDNS 설정에 들어간다. 호스트 이름과 사용자 ID를 입력하는데 사용자 ID는 실제 이메일을 입력한다. (사용자 암호를 잊어버린 경우 이메일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입력하고 DDNS 등록 버튼을 누른다...

라즈베리 파이에 메일 서버를 구축한다. 메일을 보내기 위해 postfix, 메일을 받기 위해 dovecot을 사용한다. Postfix 1. Postfix 설치 $ apt-get install postfix 메일 설정의 대략적인 형식으로 인터넷 사이트를 선택한다. 도메인을 입력한다. 2. postfix 설정 자세한 postfix 설정을 진행한다. $ sudo dpkg-reconfigure postfix 시스템 관리자에게 리다이렉트 되는 메일을 받을 계정을 적는다. 추가하고 싶지 않을 경우 공백으로 둔다. 최종 목적지로 취급할 도메인의 목록을 쉼표로 연결하여 입력해준다. 동기 업데이트를 강제할 경우 이메일 처리가 느리게 진행될 수 있다고 설명되어 있다. 하지 않을 경우 메일이 분실될 수 있는 가능성이 '살짝..

1. vsftpd 설치 vsftpd를 설치한다 $ apt-get install vsftpd 2. FTP 서버 설정 변경 FTP 서버 설정 내용을 변경하기 위해 /etc/vsftpd.conf 파일을 수정한다. $ vi /etc/vsftpd.conf 설정 내용 항목은 아래와 같다. 내용 설명 anonymous_enable=No Anonymous 사용자의 접속 허용 여부 local_enable=YES local 계정 사용자의 접속 허용 여부 write_enable=YES write 권한 허용 여부 local_umask=002 local 계정 사용자용 umask chroot_local_user=YES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제한 chroot_list_enable=YES 사용자 목록 지정 chr..
- Total
- Today
- Yesterday
- hackerrank
- DP
- 11503
- dovecot
- git
- the pads
- 자바
- 2981
- 리눅스
- 아두이노
- 라즈베리파이
- 백준
- 프로그래머스
- BFS
- ESP8266
- 블루투스
- FTP
- 키 순서
- java
- 구슬 탈출2
- c++
- 라즈비안
- 워드프레스
- 집배원 한상덕
- dht11
- hc-06
- 합승 택시 요금
- 스티커모으기2
- 메일서버
- mysq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