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Maven
- pom.xml 파일을 이용해 라이브러리를 연결해주고 빌드 해주는 플랫폼
- pom.xml에 따라 필요한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사용한다
Maven 프로젝트 만들기
- Maven 프로젝트 선택하고 만들기
- GroupId, ArtifactId 설정하기
- GroupId는 자신의 프로젝트를 식별해주는 아이디로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도메인 이름과 동일하게 해야한다.
- ArtifactId는 버전 정보를 생략한 이름으로 프로젝트 이름과 동일하게 입력해야한다
- 프로젝트 이름 설정 후 실행
- ArtifactId와 동일한 이름으로 프로젝트를 만든다
pom.xml
- pom.xml에서 사용하는 모듈을 정의한다
- 스프링을 사용하기 위해 pom.xml에 위와 같이 입력한다.
Maven 프로젝트 파일 구조
- java: 자바 코드를 구현해 저장하는 폴더
- resources: 프로젝트에 필요한 보조적인 파일들을 저장하는 폴더. 스프링 설정 파일 또는 프로퍼티 파일 등이 관리된다
SpringMVC 프레임워크 사용하기
- 프로젝트에 프레임워크 추가
- 프로젝트에 SpringMVC 프레임워크 추가
- 추가 후 결과
- 프레임워크 추가 후 applicationContext.xml, dsipatcher-servlet.xml이 추가 된다.
Spring 프레임 워크 사용
applicationContext.xml에서 스프링 컨테이너가 객체인 bean을 만들어 준다
<bean id="사용자 지정 id" class="패키지명 포함한 풀 네임"/>로 객체를 선언해 메모리에 로딩된다.
-> new 키워드를 사용해 객체를 생성 할 필요가 없다. (new 키워드 사용은 가능)
main 클래스에서
GenericXmlApplicationContext ctx = new GenericXmlApplicationContext("classpath:applicationContext.xml")//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클래스 이름 객체 이름 = ctx.getBean("빈의 id", 클래스이름.데이터 타입); // 컨테이너의 빈 얻음
// 객체 사용
ctx.close(); // 반환
[참고]
인프런 - 자바 스프링 프레임워크
'웹 프로그래밍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mcat] 콘솔 창 한글 깨짐 해결 (0) | 2020.01.07 |
---|---|
[Spring] DI(Dependency Injection) (0) | 2019.12.26 |
[Java] BufferedReader, BufferedWriter을 이용한 입출력 (0) | 2019.12.22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블루투스
- dovecot
- dht11
- 집배원 한상덕
- 리눅스
- hc-06
- c++
- 메일서버
- 백준
- 프로그래머스
- 라즈베리파이
- 스티커모으기2
- the pads
- mysql
- java
- 키 순서
- 라즈비안
- FTP
- 아두이노
- 합승 택시 요금
- 11503
- DP
- git
- 자바
- BFS
- ESP8266
- 워드프레스
- 2981
- hackerrank
- 구슬 탈출2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