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s/Github 사용법

[Git/Github] Github 연결하기

waterground 2021. 2. 27. 14:48

프로젝트를 저장하고 다른 사람들과 협업하기 위해 깃헙은 꼭 필요하다.

IDE에서 연결 할 수도 있고, cmd 창을 이용해서도 연결 할 수도 있는데, 이번 포스트에서는 IDE 없이 직접 터미널에서 올리는 방법을 정리해본다.


필요사항

  • Github 회원 가입
  • Git 프로그램 설치
  • Github에서 저장소(Repository) 만들어 놓기

Github 연결 방법

 

1. Github에 업로드 할 파일 위치로 이동

Git 프로그램이 깔린 경우, 업로드 할 파일 > 우클릭 > Git GUI Here로 들어갈 수 있고,

CMD 창에서 바로 하려면 cmd 창에 들어가서 원하는 파일이 있는 경로로 이동하면 된다.

이동 방법: Window + R > cmd 입력 > CMD 창 진입 > cd 업로드 할 파일 절대경로 입력

 

2. 로컬 저장소 만들기

git init을 입력하면 내 PC에 로컬 저장소를 만들 수 있다.

성공적으로 실행되면 아래 나오는 내용처럼 .git 파일이 생성된다.

git status로 현재 상태를 확인해보면,

commit이 아직 수행되지 않았으며, git이 추적하고 있지 않은 파일 목록을 볼 수 있다.

가장 아랫줄 문구에서 git add를 입력하면 추적할 파일을 추가 할 수 있다고 알려준다.

 

3. Git에 파일 추가

git add를 사용해 추적하고자하는 파일을 추가할 수 있다.

git add 원하는 파일 <- 특정 파일 추가

git add . <- 현재 위치에서의 전체 파일을 추가

git status로 현재 상태를 확인해보면,

commit 된 파일은 없으며, commit 되어야 할 파일들의 목록이 나온다. 즉, 앞에서 추가한 파일들의 목록이 "commit 되야할 항목들"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4. 본인의 Git 계정 연동

commit을 하기 전 자신의 계정과 연동을 해놓아야 한다.

아래의 두 명령어를 실행하면 된다

git config --global user.email "git 계정@xxxx.xxx"

git config --global user.name "git 계정 이름"

 

5. Commit 하기

이제 commit을 수행한다.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된다.

git commit -m "커밋 내용 메시지"

 

6. 원격 저장소와 연결 후 commit 내용 업로드

Github에서 만들어놓은 저장소에 가면,web URL을 확인할 수 있다.

옆에 아이콘을 눌러서 이것을 복사해놓는다.

마지막으로 아래의 두 명령어를 입력하면 commit한 내용이 업로드 된다.

먼저, 원격 저장소와 로컬 저장소를 연결해 놓는다.

git remote add origin (앞에서 복사한 URL)

그 후, push를 해 commit한 내용을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 한다.

git push -u origin master

그러면 Github과의 연결이 끝난다!

 


다음에 원격 저장소에 올릴 때에는....

 

처음 연결이 끝난 다음에는

1. add
2. commit
3. push

만 수행해도 원격 저장소에 올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