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 파이/서버
[라즈베리 파이] FTP 서버 구축하기(vsftpd)
waterground
2020. 5. 21. 13:37
1. vsftpd 설치
vsftpd를 설치한다
$ apt-get install vsftpd
2. FTP 서버 설정 변경
FTP 서버 설정 내용을 변경하기 위해 /etc/vsftpd.conf 파일을 수정한다.
$ vi /etc/vsftpd.conf
설정 내용 항목은 아래와 같다.
내용 | 설명 |
anonymous_enable=No | Anonymous 사용자의 접속 허용 여부 |
local_enable=YES | local 계정 사용자의 접속 허용 여부 |
write_enable=YES | write 권한 허용 여부 |
local_umask=002 | local 계정 사용자용 umask |
chroot_local_user=YES |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제한 |
chroot_list_enable=YES | 사용자 목록 지정 |
chroot_list_file=/etc/vsftpd.chroot_list | 사용자 목록을 적을 파일 설정 |
3. FTP 서버 사용자 등록
vsftpd.conf에서 정한 사용자 목록 파일인 /etc/vsftpd.chroot_list에 FTP에 접속할 계정을 적는다.
$ vi /etc/vsftpd.chroot_list
4. FTP 서버 재시작
설정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해 FTP 서버를 재시작한다.
$ systemctl restart vsftpd
5. 부팅시 자동 시작 되도록 등록하기
$ systemctl enable vsftpd
6. 확인
일단, FTP 서버가 설치된 리눅스 상에서 확인해보면 vsftpd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을 확인해보기 위해 다른 서버에서 FTP 서버에 접근해본다.
ftp 서버 IP 주소를 입력 -> 아이디, 비밀번호 입력 하면 연결이 된다.
put을 써서 FTP 서버에 파일을 보낸다.
get을 써 파일을 다운 받는다.
delete를 써 FTP 서버의 파일을 삭제한다.